영화 82년생 김지영 줄거리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 태어나 2019년 오늘을 살아가는 평범한 여자의 아무도 몰랐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정유미, 공유의 주연. 김도영 감독의 첫 장편 상업 영화 데뷔작인데요. 전 세대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고 있는 '82년생 김지영'은 뜨거운 흥행세를 이어가며 가을 극장가를 사로잡고 있습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줄거리를 한번 볼까요?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원작 도서도 유명하였는데요. 82년생 김지영은 직장에서 커피 심부름을 도맡아 하고, 출산과 육아휴직을 이유로 승진에서 배제되는 여성의 현실도 구석구석 녹여내었는데요. 여자들은 조신해야 한다’, ‘시집이나 가면 그만이다’ 등 한국 여성이라면 누구나 들었을 법한 혐오의 말도 나오기도 했습니다. 잠시 배란다에 나와 휴식을 취하며 생각에 잠겨있는 시간조차도 허락이 되지 않는 82년생 김지영입니다. 저 장면에서부터 저는 안타까웠습니다.

82년생 김지영은 우울하고 있습니다. 가끔씩 다른 사람이 되어버리는데요. 영화에서 자상한 남편은 이런 김지영을 보듬어주려고 하고 상담치료을 받아보라며 권해주기도 했는데요. 물론 당사자에게 비밀로 하고 요즘은 직장에서도 상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며 받아보면 좋을것이라며 돌려서 이야기를 해줍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보면서 영화속에 나오는 남편같은 사람이 현실에서 10명 중에 2명은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김지영이 다른 사람이 되어버리는 모습을 몇번씩이고 목격하게 되는 남편은 직장에서도 걱정이 많습니다.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나중에 승진에서 밀려날수도 있다는 동료의 말에 말을 꺼내지도 못합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줄거리중에서 이 장면은 저도 참 씁쓸했는데요. 지영이 어머니 생일날. 가족들끼리 식사자리를 마련하였는데요. 정작 본인 생일임에도 본인이 생일상을 차려서 고모들에게 식사를 대접해야하는 장면이 저는 참 그랬습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3남매인데요. 첫째는 언니, 둘째 김지영, 셋째가 남자동생입니다. 이 시절에도 남아선호사상으로 남자 남자하였는데요. 아직도 남아있지만요. 영화 장면에서 지영이의 언니가 남자동생을 계속 부리려고 하죠. 가만히 있지 말고 거두라고요. 고모들은 이 모습을 보며 남자가 주방에 들어가냐며 한소리를 던집니다. 

지영이는 사실 작가가 되고 싶어했는데요. 취업을 하고 직장생활을 할 때가 있었습니다. 승진에서 밀려나던 장면, 할말은 다 하는 워킹맘 실장님까지 현실적인 직장생활을 담긴 장면도 좋았습니다. 딱 봐도 유능한 직원인데 여자라서 이제 곧 시집가고 애 낳으면 회사 관둘것이라는 윗 사람들의 생각이 한편으로는 화가 나기도 했습니다. 

82년생 김지영 영화 줄거리는 두 아이의 엄마인 김도영 감독이 실제로 겪은 일이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육아와 일을 병행하면서 제가 느꼈던 고충이나 저의 경험이 많이 들어가 있었고요. 우리는 어떠한 곳에서 살아왔고, 살고 있고, 앞으로 살아가야 될까. 이런 고민을 함께 나누는 그런 영화라고 생각합니다.”라고 한 인터뷰에서 김도영 감독님이 전했습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줄거리에 대해 다 풀고도 싶지만 자칫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기에 몇 장면들만 모아서 담아보았습니다. 아마 영화를 보시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82년생 김지영이 아닌 72,62,52년생 김지영이라면 말이죠. 김지영일수도 있지만 나도 모르게 상대방을 김지영처럼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도 생각해볼 문제인거 같습니다. 젋은 사람들 말이 맞을수도 있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상 영화 82년생 김지영 줄거리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