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브리그 뜻 등장인물관계도
SBS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금요일, 토요일 드라마 스토브리그는 극본 이신화 연출 정동윤 제작 길픽쳐스로 팬들의 눈물마저 마른 꼴지에 새로 부임한 단장이 남다른 시즌을 준비하는 돌직구 오피스 드라마입니다. 그라운드 뒤에서 묵묵히 일하며 선수보다 더 치열하여 격동적인 일상을 보내는 프런트들의 고군분투기를 담은 야구 드라마가 아닌 야구를 배경으로 한 오피스 드라마입니다.
스토브리그에서는 남궁민을 비롯해 박은빈, 동백꽃 필 무렵의 오정세와 조병규 등 믿고 보는 연기파 배우들과 신선한 연출력으로 완성한 영상과 생동감 넘치는 캐릭터들을 완성한 작가의 대본이 어우려져 돌직구 오피스 드라마 탄생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스토브리그, 프런트의 뜻과 스토브리그 등장인물관계도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스토브리그란 드라마 제목이기도 합니다만 야구 매니아라면 한 번쯤은 누구나 들어봤을 법한 단어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걸 말로 설명해보라고 하면 말문이 막힐텐데요. 스토브리그란 야구 시즌이 끝나고 다음 시즌 시작전까지의 기간으로 즉 쉽게 얘기해 비시즌 기간을 뜻합니다. 스토브리그 기간에는 다음 시즌을 위한 선수력 강화를 위한 재계약이 있다거나 트레이드 등 팀 재구성이 이루어지는데요. 드라마 스토브리그에서도 이런 내용이 적용된다고 합니다. 다음 판을 준비하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다룬 휴머니즘 드라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프런트는 뒤에서 구단을 이끌며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팀으로 말 그대로 스포츠 팀을 이끄는 선발 주자라고 할 수 있는데요. 구단 운영부터 회계, 마케팅 및 판촉, 구매, 구장 운영, 홍보, 트레이너 등 그라운드 밖에서 일어나는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고 해요. 드라마 스토브리그에서도 야구판 조연인 프런트들을 주연으로 내세우면서 많은 직장인들의 공감을 일으킬 전망이라고 해요.
그럼 이제부터 스토브리그 등장인물과 등장인물관계도에 대해 알아볼까요?
스토브리그에서 드림즈 신임 단장인 백승수역의 남궁민입니다. ‘강해야 한다’ 이 말이 머릿속 세포마다 박혀있는 사람이다. 씨름단, 하키팀, 핸드볼팀의 단장을 맡았고 그의 손을 거친 팀들은 늘 환골탈태의 과정을 거쳐 값진 우승을 거머쥐었다. 하지만 그가 맡은 모든 팀들은 비인기종목에 가난한 모기업을 둔 팀들로 우승 이후에 해체를 경험하게 된다.
그런 그에게 기회가 왔다. 대한민국 스포츠판에서 가장 큰 돈이 오고 가는 곳, 프로야구에서 마침내 그를 찾게 된다. 그런데 하필 그를 찾는 팀은 경기장에서는 코치들끼리 멱살을 잡는 팀. 지명을 받은 신인선수들이 지명을 거부하거나 눈물을 흘리는 팀. 변변한 투자 의욕도 없어 프로야구단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비난의 주인공 만년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드림즈’였다. 적당한 선에서 타협을 하는 유연함, 융통성 같은 것이라곤 없는 그는 한 번 굽히면 편해지는 것을 알지만
한 번 굽히면 평생 굽혀야 하는 것을 더 잘 알고 있다.
이 시대에는 잘 쓰이지 않는 ‘합리’ 라는 낡은 무기 하나를 가지고 싸워나간다.
‘정은 안 가지만 일 잘하는 사람’. 처음 보면 그렇게 보인다.
근데 조금 지켜보면… ‘정말 더럽게 정이 안 가지만 더럽게도 일 잘하는 사람’이다.
다음 등장인물은 드림즈 운영팀장의 이세영(박은빈)입니다. 국내 유일한 여성 운영팀장이며 동시에 최연소 운영팀장인데요. 드림즈 신입사원이 된지 10년이 지났지만 딱 한번의 준우승을 제외하고는 단 한번도 가을 야구가 없었던 드림즈에서 이세영이 제일 두려운건 자신에게도 패배가 익숙해지는것입니다.
다음 등장인물 드림즈 구단주의 조카로 모기업 재송그룹 상무역을 맡은 권경민(오정세)입니다. 구단의 운영보다는 다른 사업에 관심이 많은 큰아버지를 대신해서 실질적인 구단의 노릇을 하고 있씁니다. 최후까지 승수와 대치하면서 드림즈의 운명을 좌우하는 악당을 연기합니다.
다음 등장인물 드림즈 운영팀 직원의 한재희(조병규)입니다. 전통 있는 가구업체 회장의 손자로 어릴때부터 유복한 환경에서 생활한 덕분에 행복하단 생각은 해본 적 없는 캐릭터입니다. 드림즈에 머무르게 될 줄은 이렇게 많은 에너지를 드림즈에 쏟게 될줄은 정말 꿈에도 생각하지 못한 캐릭터입니다.
다음 등장인물로 드림즈의 사장 고강선(손종학)이 등장합니다. 2019년 스토브리그는 떨어지는 낙엽도 조심한다는 정년퇴임을 앞둔 시기였는데요. 조카가 본사로부터 내려와 너무 기쁩니다. 조카는 오정세분을 말하고요. 퇴임으로 고민이 많은 그는 이후에 삶을 위해 우정을 버리기로 합니다. 과연 어떤 우정을 택하며 행복한 노후의 삶을 살아갈까요?
다음 등장인물은 드림즈 선수들인데요. 왼쪽부터 드림즈의 노장 투수 장진우(홍기준), 드림즈의 투수 유망주 유민호(채종협), 드림즈의 4번타자 임동규(조한선), 드림즈의 주전 포수 서영주(차엽), 드림즈의 주전 내야수 곽한영(김동원)이 등장인물로 나옵니다.
드라마 스토브리그에서 드림즈의 코칭스태프역을 소개합니다. 드림즈의 감독 윤성복(이얼), 드림즈의 투수코치 최용구(손광업), 드림즈의 수석코치 이철민(김민상), 드림즈의 타격코치 민태성(서호철)이 등장인물로 등장합니다.
야구 관계자들 등장인물로는 바이킹스 단장 김종무(이대연), 펠리컨즈 단장 오사훈(송영규), 스포츠 아나운서 김영채(박소진), 걸스데이 소진님이 드라마 단역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네요. 국가대표 1선발급 에이스 투수 강두기(하도권)가 등장인물로 나옵니다.
그 밖의 등장인물로는 승수의 전 부인인 유정인(김정화), 승수의 동생 백영수(윤선우), 세영의 엄마 정미숙(윤복인), 드림즈 모기업 재송그룹 회장 권일도(전국환), 전직 씨름선수인 천흥만(이규호), 드림즈의 외국인 선발을 위해 세영과 만난 코디네이터 길창주(이용우)가 있습니다.
이상 스토브리그에 대한 뜻과 프런트, 그리고 스토브리그 등장인물관계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드라마 스토브리그는 단순한 야구 드라마일거라는 편견이 있는데요. 스토브리는 야구판을 배경으로 한 미생들의 고군분투 성장기를 다른 드라마라고 합니다. 스토브리그 13일 금요일 저녁 10시에 SBS에서 방송 될 예정입니다.